제주도 설문대할망전시관 2025년 6월 개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엠아이티존 댓글 0건 조회 38회 작성일 25-04-22 11:27본문
사업명 : 제주도 설문대할망전시관 전시물 보강 제작·설치 용역 사업
위 치 :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 돌문화공원 부지 내
계약기간 : 2024. 2. 23 ~ 2025. 4. 15
제주도 설문대할망전시관은
"할망의 품, 제주를 걷다"를 주제로
제주 신화 속 창조 여신인 설문대할망의 흔적을 따라 거닐며
민속, 돌문화 역사, 신화 이야기를 깊이 들여다보고
그 속에 담긴 제주다움의 지혜와 가치를 발견하는 전시관으로
실시설계 8개월 제작설치 6개월을 거쳐
2025년 6월 5년만에 새롭게 개관을 계획하고 있다.
“첫 개방형 수장고에 어린이관까지”…오는 6월 개관
5년 전 공사가 마무리됐는데도 문을 열지 못한 설문대할망전시관.
사업비 59억 원이 투입됐지만 전시물과 유물 부족, 패널 위주의 전시 방식, 여기에 휴식 공간이 없는 게 문제였습니다.
지난해 추가 의견 수렴을 하고 90억 원이 투입되는 최종 전시물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주제는 '할망의 품, 제주를 걷다'.
지하 2층의 특징은 상설 민속 전시실로 제주에서 첫 개방형 수장고가 선보입니다.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도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유물 600여 점이 전시됩니다.
역사관에선 영상으로 제주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고 곳곳에 휴게 공간도 마련해 긴 동선의 문제를 해소했다고 용역 업체 측은 설명했습니다.
[권혁설/용역사 대표 : "전시 공간만이 아니라 쉼과 여유가 있고 거기에서 좀 다양한 복합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지하 1층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인 건 미래를 주제로 한 어린이관입니다.
2천200여㎡ 규모로 한라산과 오름 형태의 놀이 공간이 마련됩니다.
2차 보강 1년 3개월 동안 300여 차례의 자문과 실무협의를 거친 최종안은 나왔지만, 패널 전시를 대체한 영상물의 유지 보수와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등은 과제로 꼽혔습니다.
[김동희/제주돌문화공원 관리소장 : "첨단 기술이 들어간 전시물이 많습니다. 시범운영 하며 부족한 부분 채워 나갈 거고요.
개관전에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면적이 축구장 3배가 넘는 국내 3번째로 큰 설문대할망전시관.
설문대할망 신화와 돌을 바탕으로 제주인의 삶과 정신, 문화를 품은 공간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발췌: 뉴스7(제주) 입력 2025.04.14 (19:30) 수정 2025.04.14 (20:10) 보도자료